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야기

일본 붕어낚시 이야기 제2화 입문자에게도 알기 쉬운 첫 낚시 입문 : 헤라부나, 마부나를 감도 뛰어난 각종 찌 채비로 낚는다 떡붕어, 마부나는 이런 물고기 떡붕어(헤라부나)는 비와코(*)에 있던 떡붕어(겐고로오부나)가 개량되어 탄생한 인공적인 물고기입니다. 성장이 빠르고, 몸길이도 최대 50cm이상으로 자랍니다. 마부나(우리나라 토종붕어에 해당)는 야생 붕어의 총칭으로, 금붕어와 은붕어를 주로 가리킵니다. ※ 주석 : 시가현(滋賀県)에 있는 일본 최대의 호수 포인트는 여기 어느 쪽도 흐름이 잔잔한 장소를 선호하고, 수초 주변과 장애물 주위의 중층부터 바닥층에 서식. 헤라부나(주걱붕어, 떡붕어)는 주로 플랑크톤을 잡아먹습니다. 마부나는 저생 동물의 붉은장구벌레와 지렁이 등도 먹습니다. ※ 주석 : 일본 붕어낚시 채비는 크게 두 가지 .. 더보기
옛 선조들의 낚싯대와 찌 이야기 우리 조상들도 낚시를 즐긴 것은 옛 산수화와 풍속화 중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조선 시대 회화에서 낚시를 소재로한 그림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림에 식견이 있으신 분들은 그 기법과 가치를 논하겠지만, 저는 오직 낚싯대와 채비에 초점을 맞추어, 그 화폭에서 과연 우리 조상들은 어떤 낚싯대와 찌를 사용하였는지 추측해봅니다. 묵로 이용우는 조선 전기 때의 화가(1545~1611)이며, 본관 전주(全州)입니다. 그림으로 보아 무슨 낚싯대인지는 모르겠으나, 추운 듯 뭔가 두껍게 걸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학포 이상좌는 15세기 말 조선 중종 때 화가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입니다. 어느 선비의 가노(家奴)였다고 하는데, 어려서부터 그림재주가 뛰어나 중종의 특명으로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이 되었다고 합니.. 더보기
일본 붕어낚시 이야기. 제1화 일본에는 수조통을 팔지 않는 것을 알게 된 뒤로 관심을 가지게 된 일본 붕어낚시. 일본 붕어낚시와 우리나라 붕어낚시와 상당히 차이가 있고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일본에 블로그를 만들어 우리나라 붕어낚시를 소개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조금씩 조회수가 늘어나고 있네요. 구독자 등록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부지런히 해야 하는데, 1일1포스팅이 쉽지가 않고, 워낙 일본에 강한(?) 블로그들이 많아서 뜻대로 진도가 안 나갑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서두르지도 않고, 끝까지 해볼 생각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문득, 이번에는 반대로 일본 붕어낚시를 우리나라에 소개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용하는 장비, 채비, 찌, 미끼 등 일본 붕어낚시에 대한 포스팅을 번역해서 올리면 일본의 낚시문.. 더보기
전통 대나무 낚싯대 이야기 한국 민물낚싯대의 변천사 1세대 - 대나무 낚싯대 2세대 - 글라스 낚싯대 3세대 - 카본 낚싯대 4세대 - 티타늄 낚싯대? 우리나라의 낚싯대는 옛날부터 특산인 시죽(신우대)와 조릿대를 다듬어 만든 통대나무 낚싯대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언제부터 이음낚싯대를 만들어왔는지, 낚싯대에 낙관을 넣는 낚싯대는 언제 누가 만들었고, 어떻게 승계되어 왔는지, 이러한 죽간의 계보는 안타깝게도 기록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죽간의 발상지와 제조 방법 등을 더듬어 볼까 합니다. 나름 공부해서 계보도 만들어보았습니다. 자세한 기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정기 씨가 만든 '주작'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만든 낚싯대로 전해집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한편 주작과는 별도의 흐름으로 평안도 출신의 한승진.. 더보기
'통대나무 낚시대'라고 들어보셨나요? 낚시의 역사는 낚시대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습니다. 1세대가 대나무 낚싯대라고 하죠.1950년경 주작과 한작이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2세대의 글라스로드 낚싯대가 등장하면서 대나무 낚싯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집니다. 3세대는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 낚싯대입니다. 4세대는 티타늄 어쩌구 하는데 잘 모르겠구요. 암튼, 위에 말씀드린 낚싯대는 모두 상용화된, 또는 상용화시킨 것을 말합니다. 여기까지는 누구나 아는 이야기죠. 그럼 1세대 이전에는 어떻게 낚시를 했을까요? 기억나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어렸을 때 문방구(문구점) 앞에는 작은 통대나무 낚싯대를 팔았죠. 당시 국민학생(현 초등학생)에게 판매하는 거라 비싸지는 않았습니다. 조선일보DB에 있는 1960년 7월 사진입니다. 당시 기.. 더보기
새우 이야기 오늘은 민물새우 이야기입니다. 새우는 대물낚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미끼이기도 합니다. 호수와 늪 ‧ 강에 서식하며, 몸은 담색으로 반투명이고, 몸길이는 약 3센티미터까지 자란다고 합니다. 새우는 머리와 가슴이 붙어있습니다. 그래서 머리가슴부분과 배부분, 꼬리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머리가슴에는 한 쌍의 더듬이가 있고, 5쌍의 걷는 다리와 헤엄치는 다리가 있습니다. 새우는 전세계적으로 2,900여종이 서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90여종이 있다고 하네요. 참 많네요. 우리나라에는 징거미새우 · 새뱅이 등의 민물 새우가 있습니다. 딱총새우속에 속하는 종류는 3.5센티미터까지 자란다고 합니다. 새우는 절지동물이며, 십각목 새우아목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라고 합니다. 십각목(十脚目)이란 다.. 더보기
참게 이야기 낚시를 하다보면 찌가 방정맞게 움직이며, 때로는 끌고가기도 하고 살짝 들었다놓았다를 반복할 때가 있습니다. 네. 이것은 가재, 물방개, 참게의 소행일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중 참게 이야기입니다. 힘차게 챔질하면 헛챔질일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살며시 끌어오면 뭔가 묵직한 것이 따라나오죠. 일명 '바늘도둑'이라고도 하는 참게입니다. 잡식성인 참게는 크고 작은 수로, 저수지 또는 바다에 가까운 민물에 살다가 산란철인 가을에는 바다로 내려간다고 합니다. '저수지에 사는 참게는 어떻게 내려가지?!' 바위겟과에 속하는 갑각류인 참게는 이마에 4개의 이가 있고, 집게 다리 한 쌍과 네 쌍의 다리가 있습니다. 다른 말로 참궤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해(蟹),천해(川蟹)합니다. 옛날부터 유명한 식용 게였으며, 규합총.. 더보기
가재 이야기 오늘은 민물 가재 이야기입니다. 바늘도둑이기도 한 가재는 낚시할 때 귀찮은 놈이죠.^^; 가재는 가재과에 속하는 민물 갑각류인데, 깨끗한 계곡이나 산골의 냇물, 저수지에서 산다고 합니다. 가을에 짝을 지어 5월~6월에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낮에는 돌 밑에 숨어있다가 밤이 되면 나와 지렁이, 달팽이, 올챙이, 곤충의 유충, 새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죽은 동물을 먹기도 한다. 위협을 느낄 때는 꼬리 부분으로 힘껏 물을 끌어당겨 뒷걸음질 칩니다. 붙잡히면 다리를 끊고 도망치기도 한다. 날로 먹으면 폐디스토마에 걸리기 쉬우므로 삶아서 먹어야 한다. 약으로도 쓰이는데, 동의보감, 전어지에 옛부터 기록되어 있네요. 한자어로 석해(石蟹)라고 하고, 영어로는 crawfish이고, 일본어로는 자리가니[ザリガニ.. 더보기
물방개 이야기 낚시를 하다보면 찌가 몸통까지 올라와 챔질하면 헛챔질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엔 입질이 약했나보다 생각하지만, 또 헛챔질로 이어지면 이상하게 생각하죠. 이것은 바로 가재, 물방개의 짓이 농후합니다. 오늘은 그중 물방개 이야기입니다. 물방개는 민물에 사는 물방개과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몸은 타원형이며 납작하고, 종류가 많다고 합니다. 또 성충의 뭄길이는 35~40mm정도라고 합니다. 치어나 작은 곤충류를 먹고 살고, 붙잡히면 냄새나는 액체를 내뿜는다고 합니다. 영어로는 a diving beetle이고, 일본어로는 겐고로우[ゲンゴロウ(源五郎)]라고 하네요. 학명은 Cybister japonicus Sharp [키비스테르 야포니쿠스 ]입니다. 더보기
몰개 이야기 채집망에 피래미 비슷한 것이 들어와서 알아보았더니 '몰개'라는 오종이더군요. 오늘은 몰개 이야기입니다. 몸색이 은백색인 것이 피래미와 비슷해보이고, 옆에 줄무늬가 있네요. 몰개는 모래무지아과 또는 잉어과에 속하는 고유어종인데요, 왜 정리가 안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학명은 Squalidus japonicus coreanus(Berg, 1906)입니다. 1906년에 Berg라는 분이 발견하여 학명을 붙였나봅니다. 영어로는 roach 또는 chub이라고 하고, 일본어로는 코라이모로코[コウライモロコ(高麗諸子)]라고 하는군요.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