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둠벙

2018 대구낚시엑스포(10.05~10.07) 더보기
어구 이야기 오늘은 '어구' 이야기입니다. 찌 몸통 소재로 사용되는 '어구'입니다. 어구가 어떤 것인지 검색해보았는데, 검색이 안됩니다. 사전에서 '어구(漁具) : 물속에 넣어서 직접 고기를 잡는 데 쓰는 도구'라고 뜻 외에 없더군요. 그럼 저 물건의 정확한 명칭은 뭘까요? 그래서 좀더 찾아보았습니다. 한자어로 부표(浮標) 또는 부자(浮子)라고 하고, 외래어로는 부이(buoy), 플로트(float)라고 하는데, 플로트 앞에 EVA, 폴리텐(poriten), 등의 소재명이 들어갑니다. EVA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약자로 고무와 수지를 결합한 합성수지를 말합니다. 유연성이 뛰어나고 내부충격에 강하며 충격방지에 효과적이어서 선박이나 해상시설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재입니다.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플로트 또는 부.. 더보기
수초 이야기 낚시를 하다보면 수초가 많은 곳에서 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 수초(水草) 이야기입니다. 수초란 말그대로 물가나 물속에 자라는 풀입니다. 그런데, 어떤 종류의 수초가 있을까요? 수초는 크게 정수수초, 부엽수초, 그리고 침수수초로 나뉩니다. 정수(挺水)란 '빠져나올 정', '물 수'이니까, 정수수초는 뿌리는 물밑 바닥속에 있고, 줄기와 잎은 물위로 나온 수초를 말합니다. 정수수초로는 부들, 갈대, 연, 줄풀, 창포 등입니다. 부엽(浮葉)이란 '뜰 부', '잎 엽'이니까, 부엽수초는 뿌리는 물밑 바닥속에 있고, 잎은 물위에 떠있는 수초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마름, 어리연, 개구리밥 등입니다. 이건 마름 씨앗같습니다. 양쪽으로 나온 것이 바늘처럼 날카롭습니다. 침수(沈水)란 '잠길 침', '물 수.. 더보기
기다리면 나에게도 올거야. 여주 둠벙 붕어낚시 오늘은 여주로 달려가봅니다. 늦은 시간이라 서울에서 1시간반 거리의 가까운 곳으로 정했습니다. 오늘은 어떤 만남이 있을지... 도착했습니다. 하지만 오늘 낚시하려고 하는 곳은 여기가 아닙니다. 이곳은 낚금지역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저기 잉어낚시하시는 분들이 계시네요.^^; 근처에 둠벙이 있습니다. 평소에 한 번 와보고 싶었던 곳입니다. 찾았습니다. 하지만, 자리가 없을 정도로 많은 조사님들이 계시네요. 안쪽으로 더 들어가봤습니다. 자리가 없습니다. '이런...' 여기저기 둘러보고 있는데 나무에 뭔가 걸려있습니다. 배스가 많은가봅니다. 안타까운 표정으로 둠벙을 기욱거리고 있는데... 바로 앞에 계신 조사님이 낚시하러 왔냐고 묻기에 답을 했더니, 곧 갈테니까 이곳에서 하라고 하십니다. 얼릉 대편성했습.. 더보기
안성 사유지 둠벙에서 도낚(盜釣) 회사 경비형님이 웅덩이 한 곳을 알려주셨습니다. 대신 매운탕거리를 잡아와달라고 하시네요. ㅎㅎ 저 숲너머에 있다고 합니다. 황소개구리를 잡으러 갔다가 붕어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하시네요. 이쪽으로 올라가면 된다고 하는데... 조금 올라가보니 오른쪽에 집 한 채가 있고 할머니가 뭔가 하고 계십니다. 인사를 건넸으나 귀가 어두우신지 제쪽으로 돌아보지 않으시네요. 조금더 걸어들어 갔는데 정말 멋진 웅덩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짬낚을 즐겨볼까 합니다. 외대편성을 하고 있는데 웅덩이를 가로질러 물뱀 한 마리가 지나갑니다.^^; 수심은 1.2미터 정도 나오네요. 지렁이와 딸기글루텐을 사용해봤습니다. 바로 입질이 들어옵니다. 붕어들이 무척 순진한 것 같습니다. 토종붕어와 잉어만 있고 그외 어종은 없는 것 같습니다.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