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작 수납선반

찌재료 수납선반 만들기 2부. 완성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찌재료 수납선반을 완성시켜 보겠습니다. 조립에 사용될 대나무 젓가락입니다. 대나무 젓가락을 적당히 잘라서 대나무못으로 사용할 겁니다. 가급적 대나무 못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제 수납선반 측면에 들어갈 목재를 조립해 보겠습니다. 대나무 못을 넣을 부분을 드릴로 구멍을 냅니다. 대나무 못에 목공용 본드를 발라줍니다. 대나무 못을 구멍에 비벼가며 집어넣습니다. 구멍에 넣은 대나무 못을 망치로 한두 번 콩콩 칩니다. 대나무 못의 필요 없는 분을 잘라냅니다. 수납선반의 측면에 들어갈 부분이 완성되었습니다. 완성된 측면 목재의 이음부를 사포로 다듬어 줍니다. 측면 목재의 안쪽을 트리머로 다듬어 줍니다. 1단과 2단의 이음부 설계도입니다. 2단의 일부 목재는 1.. 더보기
찌재료 수납선반 만들기 1부. 목재 준비 찌 재료가 많아져서 수납할 선반이 있었으면 합니다. 그래서 만들어 봅니다. 이번에도 파렛트를 분해해서 만들어보겠습니다. 수납함의 사이즈를 대충 그려보았습니다. 목재의 사이즈도 그려보았습니다. 사이즈에 맞게 자릅니다. 잘라낸 부위를 사포질 합니다. 1차로 걸러낸 목재들입니다. 수납함의 측면 목재를 1치 샌딩 중입니다. 바닥판으로 사용될 목재와 상판으로 사용될 목재를 샌딩 합니다. 파렛트의 크기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조금 크기 조정을 해주면 파렛트에서 온 목재인지 구분이 안 갑니다. 재단하기 위해 목재에 선긋기를 합니다. 저는 목재의 넓이를 7cm로 항상 정합니다. 가장 좋은 크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톱질합니다. 힘 조절을 하면서 톱질을 하면 힘들지 않습니다. 3단 수납함에 들어갈 목재가 준비되었습니다.. 더보기

반응형